재밌었다. 말주변 없고 소심한 나에게 많은 도움 되었다.
[애매할때]질문에는 질문으로 받아치자.
[기분 나쁘게 하는 말일때]
네? 무슨 뜻인지 구체적으로 얘기해줄래요?
하하, 땡땡씨,정말~라 생각하세요?
말씀이 이해가 잘 안돼서요.
응?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어.
[무례할때]
긍정적으로 바꿈-장군같다는 게 무슨 의미예요? 에너지가 좋고 씩씩하다는 뜻?
저의 성정체성에 관해 묻는건가요? 왜요?
대놓고 상처주는 말 - 설마. 지금 저 상처주시는 건가요?
침묵하기- 빤히 쳐다본 후 아무말도 하지 않기.
상사일 경우 단답: 넵. 아하. 침묵.
침묵. 단답 그렇군요.(표정 무표정하게)
*중의적표현(긍정도 부정도 아님)
패션센스가 없네. 잡지라도 서서 보는게 어때?
그런가요? 그럴지도 모르겠네요. 생각해볼게요.
*개소리엔 냥소리
요즘 젊은 친구는 열정이 없어.
그런가요? 저 초딩때 유승준 열정이라는 노래 진짜 좋아했는데~
*돌아이. 사차원
웃음이 너무 헤픈거 아냐?
조커라는 영화 보셨어요? 웃음 못참는 병이 있더라고요. 그 영화 엔딩에서 ~~~~
*감정노동. 갑을관계
아시다시피. 잘 아시는 것처럼
-아시다시피 사은품 수가 제한되있어서요.
*설마. 부정적인말. 긍정적해석
당신 오늘 온종일 뭐했어?
- 설마 내가 하루종인 놀았다고 비난하는 건 아닐테고.내가 뭘하느라 바빴는지 궁금했구나?
* 초두효과 . 처음엔 칭찬
* -선배님. 재미있는 사람인 줄 알았는데 방금 그 말씀땜에 생각이 바뀌었네요
어머 부장님, 요즘 그런 말 하시면 안돼요. 사람들 다 놀라요.
다른데서 그런 말 하면 사람들 놀라. 말조심하는게 좋을거야.
* 부정적인말. 아예 인정. 과장하기
기억력 정말 안 좋다. 그 학교는 어떻게 나왔니?
어 내가 무슨 학교 나왔지? 기억이 안나네. 누구시죠?
*부정적인 말에도 내가 배운 점 배우기.
*나에게 칭찬하기.
*그럴수있지. 다음에 잘하면 되지. 배움의 기회로 삼자. 성장할 수 있겠다.
*나의 단점 말하지 말기. 외모, 성격 등. 사람들 의외로 관심 잘 없어서 모른다. 내가 얘기하면 그것민 보인다.
"~인 것 같다. " 라는 표현 자제하기
말끝 흐리지 않기. "그렇다고 하던데..." "그렇다고 합니다." 마무리 확실하게. 말 길게 하면 말 끝 흐릴 수 있으니 짧은 문장으로 나눠서 마무리 확실하게 하기.
싫은 사람일수록 예의갖춰 말하기.
쓴소리 해야할때: 긍정(먼저 잘된점, 고생한 점 이야기하기)-부정(표현 조심스럽게 돌려 말하기)-긍정(현실적인 대안 제시, 긍정적 격려)
상대방에게 부탁하기 싫어서 내가 하고 말지라는 생각버리기. "~괜찮을까? ~ 이런 부탁해서 미안해. 어려우면 바로 이야기해줘." 부탁을 통해 서로 친해지는 경우도 있음. 연애할 때, 사이비종교 포교전략 등.
거절할때, 상대방의 마음과 입장에 공감한 후 마음같아서는 해주고 싶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다. 미안하다는 말하기.
조금 생각해봐야 할 사안: 하루만 생각해볼게. 기한 정해서 알려주기. 대안제시하기. 다음 기약하기.
어이없는 부탁: 구체적으로 물어서 확인하기(어떤부분을 이유를 들어 거절할지 파악하기 위해)- 시간을 뺄 수 없어 불가하다. 아쉽다.(미안하다는 말 할 필요없는 사람일때)
떨릴 때- 긍정적반응하는 청중에게 시선두기. 5초마다 시선 천천히 옮기기. 떨린다는 말보다 신난다.설렌다 주문외보기. 청중 반응 안 좋을 때 내가 말하는
내용에 집중하기. 피피티로 잠시 시선돌리기. 떨린다고 솔직히 말하기. 떨리지만 최선을 다하겠다 등.
칭찬할때-결과보다 과정 칭찬. 뻔한 칭찬, 자주 들었을법한 칭찬말고 다른 것을 칭찬해본다.
칭찬받았을때-"아니에요"하지 말고 "감사합니다"
앞으로 더 열심히 하겠다. 덕분이다. 농담으로 받기. 칭찬 돌려주기. 고마워~너도 요리잘하잖아. 등
어색한 상황 - 상대방에게 애정 어린 궁금증가지기. 질문하기. 무례한 질문 안됨. 열린질문(예, 아니오 답 나오는 질문말고) 점심 맛있었나요?말고 점심 뭐 드셨어요? 상대가 좋아할만한, 관심 있어하는 것에 대한 질문. 무슨 음악 좋아하세요? 최근에 본 드라마 중 무슨 드라마? 등.
눈에 보이는 것 얘기하기. 엘리베이터에서 클래식 음악이 나오네요. 저 건물 이제 거의 완성되가네요. 등
상대방의 말에 동의. 공감. 반대부터 하지 않기. 상대방 말을 내이야기로 받지 않기. "그 상사때문에 속상했겠다" 해야 되는데 "우리 상사는 말이야." 계속 내얘기 하지 않기.
나는 이런 영화 좋아해. 로 끝내지 않고 "너는 어때?" 묻기.
부사 사용 줄이기. 너무, 진짜 등. "그 영화 너무 재밌었어." 보다는 "그 영화 보다보니 시간가는 줄 몰랐다. 어떤 장면이~" 등
습관적 리액션 하지 않기. 가만히 경청한 후 리액션 해도 됨. 눈 마주치기.
오감사용하기. "맛있다" 말고 "굴이 탱탱하다. 바다내음이 난다. 파박박 끓여먹으면 오장육부가 따뜻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