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0. 29. 18:04

책이 간단간단 쉽게 읽을 수 있어서 하루 만에 다 읽었다. 

많이 배웠고 저번에 읽었던 수업 관련 책 2권 정도와 비슷한 부분이 많았다. 근데 나는 알면서도 왜 실천을 못하는지 ㅠㅠ 내년에는 제대로 해봐야겠고 올해라도 할 수 있는 것은 실천해봐야겠다. 

현재 가장 큰 교실 수업의 문제는 애들을 두 부류로 나눠지게 하는 수업 방식이다. 머리 좋고 곧잘하는 아이들은 잘 따라오지만 조금 느리고 이해력이 다소 부족한 아이들은 따라올 수 없고 방관자가 되버린다는 거다. 

그 중에 제일 안 좋은 것이 거수-지명-발표라고 한다. 그리고 교사의 머릿속과 일치하는 대답만을 정답으로 간주하는 수업이 가장 안 좋다고 한다. 

 

1. 전원이 똑같은 문제의식을 가져야 한다. 

동기유발에서 아이들이 문제의식을 가져야 한다. 이상하다. 왜 그러지? 생각이 들도록. 

예를 들어: 혈관은 얼마나 길까요? 지구 둘레와 비교해서 알려주면. 아이들이 우와! 신기해하며 의문을 가지도록. 

나쁜 병들 나열.. 이런 병들을 날마다 돈을 주고 몸 안에 쌓아두는 사람이 있어요. 누구? 담배 ...

신기한 실험 제시. 왜 그럴까?

순이(다른 책에서는 "딴지")가 나와서 그 사람은 진짜 정직한 사람일까? 난 아니라고 생각한다. 순이의 의견에 동의하는 사람은 O, 동의하지 않는 사람은 X 써라. 모두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뒤집어서 질문. 

2. 발문을 정답을 알아맞히게끔 하기 위해 던지는 질문이 아니다. 교사의 머릿 속에 있는 생각을 알아맞히는 것이 아니다. 

 

3. 왜 그럴까요? 그렇게 된 까닭은? 이런 식의 문제 제시 하지 않기

컵 안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은 까닭은 무엇일까요?(X)
컵 안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는 것은, 컵 안에서 물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고 있는 것(범인)이 있기 때문입니다. 컵 안에서 물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고 있는 것(범인)은 무엇입니까?

2분 동안 마음껏 생각하여, 생각한 바를 다섯 자 이내로 요약하여 쓰시오. (O)

나팔꽃이 잘 자라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X)

나팔꽃이 잘 자라고 있었는데 누군가 훔쳐가서 이틀 후 찾았더니 시들어 있었다. 도대체 이 나팔꽃은 어디에 놓여있었던 걸까요? 2분 동안 실컷 생각하여 5자 이내로 기록하세요.(O)

중요한 것은 시간과 글자 수를 정해 줘여 함. 

 

4. 자기 나름의 생각을 가지게 하세요 .

못 적는 학생은? 짝꿍의 생각을 보고 힌트를 얻게 하거나 아니면 베껴쓰게 하라. 아이들에게 사전교육시켜야 한다. 베껴쓰는 것은 나쁜 것이 아니라 배우기를 원하면 언제나 도움을 주는 좋은 학습방법이라는 것. 우리가 아는 것은 누군가에게 어떤 매체에서 배운 것이다. 어차피 모방이다. 

 

5. 정답 외의 생각을 존중하라. 

아이들 생각 포스트잇에 적어서 칠판에 모아서 같은 생각끼리 분류. 소거법 사용하여. 아이들과 잘못된 생각을 찾아보자. 옳은 생각을 찾아보자. 투표하며 소거한다. 

 

6. 전원이 동시에 발표하기

칠판에 표를 만든다. 1~7모둠 아래에 모둠별 번호 1~4번

처음에 1번 나와서 생각을 붙임. 2번, 3번, 4번 차례로 붙이기. 앞의 친구들 생각을 보고 자기 생각을 수정할 수 있다. 중요한 생각이 안 나왔다면 교사가 옆에 판서한다. 

쌀 생산량 반드시 더 많이 생산. 현재 유지, 더적게 생산

                 아마도   더 많이 생산. 현재 유지. 더 적게 생산. 

표를 만들고 아이들 이름표를 자기 생각에 맞는 곳에 붙이게 한다. 

음성발표하면 모든 아이의 생각을 칠판에 판서해서 적는다. 자기와 같거나 유사한 생각이 없다면 보충발표시킨다.  

 

 

7. 교실에는 오답이 없으며 자기 나름의 생각이 있을 뿐이다. 

오답도 쓰기. 오답부터 아이들과 검토. 하나씩 잘못된 이유 검토해서 지워나가기.

 

8. 정답주의로부터 벗어나라. 

 

9. 음독 지도의 중요성

초등 뿐 아니라 대학원까지도 음독이 중요하다. 여러 번 음독하기. 동그라미 10개 그리고 읽을 때 마다 한 개씩 까맣게 색칠하기

짝꿍끼리 음독하기. 잘 못 읽은 곳에 밑줄 쳐주기. 다시 읽기. 잘 읽으면 동그라미 쳐주고 또 오독하면 밑줄 한 개 더 긋기.

모둠 대항 음독 시합

잘못 읽으면 오독 외친다. 모둠의 1번 아이들 음독하게. 가장 많이 읽은 사람이 승리.

- 더듬지 않고 읽기, 읽은 곳 되풀이하여 읽지 않기, 있는 글자 빼고 읽지 않기, 반점, 온점까지의 사이가 길 때는 알맞게 끊어 읽기, 대화문은 인물의 심정이 잘 표현되도록 읽기. 느낌표, 물음표 기호는 알맞은 억양으로 읽기.

 

10. 언어능력은 학력의 모체

어휘력의 중요성. '어휘저축통장' 

일련번호/새로만난말/뜻/비슷한말/반대말 

노트에 표로 만들어 적기.

'교사용 어휘저축통장' 전지를 세로로 이등분하여 칠판 한 쪽 끝에 걸어놓고 기록하기. 

뜻을 외워야 하교할 수 있도록. 모둠별 검사. 

모둠 당번 아이가 문제를 냄. 나머지 세 모둠원 손들어서 그 뜻을 말함. 모르면 다른 모둠원 친구 말하는 것을 귀담아 듣고 그대로 말함. 당번 아이도 나머지 세 아이에게 검사 맡음. 하교하기.

사전 활용하기. 통장에 적은 단어 형광펜으로 표시하기

 

11. 경청하기

그냥 "잘 들으세요" 안됨.

1) 노트에 나의 생각과 같다. 아니다 표시하기 친구이름: = =/ 이렇게 표시하며 듣도록

2) 친구이름 적고 찬성하면 동그라미, 반대면 엑스 표시하며 듣기

3) 복창하게 하기

우수 아이 발표 - 다른 우수 아이 지목 복창하게 한다. 

4) 과제를 주어 듣게 하기

- 지금부터 누가 발표를 하는데 발표 내용 가운데 키워드를 하나 찾아 노트하세요. 누구의 발표 가운데에서 군더더기말을 하나 찾아 쓰시오. 

- 잘 궁리한 대목 적게 하기

- 선생님이 읽을 때 일부러 한 곳을 잘 못 읽을 것이다. 그곳에 밑줄쳐라. 

- 발표를 들은 후 질문하게 하기 . - 친구 발표 들은 후 질문 하나씩 노트에 써라. 

5) 빈 손으로 듣게 하기

- 손에 쥔 것 모두 내려놓고 들으세요.

 

12. 교재 글 제대로 읽게 하기

사전에 교재의 지문 읽게 하고 사전문제를 풀게 한다. 

 

13. 한 번에 한 가지씩 가르치기

1) 분침 - 여러 번 따라 읽으며 가르치고 2) 시침 2와 3사이 움직이는 동안 2시 : 선창 후 복창 여러번 3) 분침과 시침의 관계(  )시 (   )분 판서하고 연습하기

 

14. 응답은 필답으로

지적순발력 좋은 아이들만 거수-지명-발표에 참가. 대부분 아이들 소외됨. 구두 발표 위주의 수업은 방관자를 만든다. 노트에 답을 적게 한다. 짝꿍이 필답했는가를 확인. 정답인지 아닌지가 아니라 썼는지 안썼는지만 확인. 둘이 손을 들게 하고 교사와 눈이 마주치면 손 내리도록. 

 

15. 급소를 집중하기

수학 일률적으로 2쪽에 1차시. 그렇게 말고 어려운 부분에 시간을 더 할애하라. 

 

16. 수업 용어가 어렵다. 

필수어휘를 칠판에 판서. 반복해서 지도. 반복하지 않으면 모르는 아이들을 위함. 

 

17. 지시한 대로 행했는가 확인

밑줄 그으세요. 말만 하고 확인안하면 학생들 절반도 지시를 안 따른다. 짝꿍끼리 확인 거수 후 교사와 눈 마주치면 손 내리도록.

 

18. 수업의 실제.

문단배열순서 - 머리가 슬기로워진 순간 교사가 언급하며 칭찬(책에서는 표를 만들어서 몇 번인지 표시함)

문단배열하기가 어려우니 첫문단이 무엇인지는 알려줌. 궤간순회하고 못하는 아이들 많으면 끝문단도 알려줌. 중간 문단 순서 포스트잇에 기록 모둠 번호대로 나와서 칠판에 붙이고 판서. 뭐가 옳은지 아이들과 이야기 나누며 소거함. 

순이 등장시켜서 아이들이 생각 못한 바를 얘기함. 답이 2개 아닐까? 어쩌고저쩌고. 순이 얘기 동의하는 사람 동그라미 노트에 그리고 동의 안하면 엑스 그려라. 

각자 생각 같은 애들끼리 모여서 얘기해봐라. 어쩌고저쩌고.

마지막 수속정리를 잘해야 한다. 

지은이의 생각 곧 주장은 (                   )가 제대로 됐을 때 제대로 전해진다. 

노트에 적고 (               )에 뭐가 들어갈지 쓰세요. 전원 썼는지 확인 후 뭐라고 써 넣었습니까? 

슬기로운 머리 칭찬하며 정리.

의문나는 점, 더 알고 싶은 점 짧게 포스트잇에 적어서 제출해주세요. 시간은 2분입니다. 다음시간에 공부해보자. 

Posted by 이니드417